소소한 알쓸신잡

부동산 재테크 금융 날씨 운세 이슈 상식 건강 이야기

소소한 이야기/앱테크,금융

전국최초! 8월 1일부터 '동백패스'로 부산 대중교통 이용하고 최대 45,000원 환급받자

홍차녹차 2023. 7. 18. 12:31
반응형

 

월급은 제자리걸음이고 물가는 올라 서글픈데, 최근 들어 대중교통 요금 인상 소식이 들리기 시작합니다. 서울에 이어 울산 시내버스 요금도 오른다고 하는데요. 무덥고 습한 여름철 전기세도 무서운데 믿었던 대중교통 요금까지 오른다고 하니 연일 흐리고 비 오는 날씨처럼 마음도 울적해지는 것 같습니다. 그래도 희소식 하나 가지고 와보았는데요. 오늘의 소소하고 사소하지만 알아두면 쓸모 있을 금융이야기, 전국최초로 시행하는 동백패스 이용하고 최대 45,000원 환급받을 수 있는 방법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전국최초 대중교통할인제 동백패스란?

지난 3월 시행계획을 발표한 대중교통통합할인제를 오는 8월 1일부터 본격적으로 시작한다고 7월 10일 발표하였습니다. 부산시는 기존 지역화폐인 동백전과 교통비할인을 합쳐 '동백패스'라는 브랜드를 만들었는데요, 이로 인해 대중교통 이용률을 높이고 동백전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답니다. 해당 예산은 당초 422억원을 편성하였으나 중간에 122억 원을 삭감하여 사업 중간 차질이 생기지 않을지 우려의 목소리가 나왔지만, 이번 8월부터 올 연말까지 5개월간 시행하는 데에는 무리가 없다고 덧붙였습니다. 

 

 

 

 

 

 

 

동백패스 이용하고 최대 45,000원 환급받는 방법

  1. 패스혜택 : 동백패스를 이용하여 한 달에 4만 5천원을 초과하여 사용(결제)하면, 다음 달 초과금액 최대 4만 5천 원을 동백전으로 환급해 주는 제도
  2. 환급예시 : 2023년 8월 한 달 대중교통요금으로 9만원을 사용하였을 시, 다음 달인 2023년 9월에 동백전 정책지원금으로 4만 5천 원 환급. 8만 원 사용 시 3만 5천 원 환급/ 7만 원 사용 시 2만 5천 원 환급/ 6만 원 사용 시 1만 5천 원 환급
  3. 이용대상 : 동백전 후불교통카드를 이용해서 부산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사람 누구나 가능합니다. 다만 본인 명의의 스마트폰이 없는 경우와 만 18세 미만일 경우, 그리고 부산은행 입출금 계좌를 보유하지 않는다면 이용이 제한되며 사전에 후불교통서비스 가입 대상자만 해당되오니 혜택을 받고 싶으시다면 서비스 가입을 하고 이용하시길 바랍니다.
  4. 대중교통 : 동백패스가 적용되는 교통수단은 부산에 등록된 시내버스, 마을버스, 도시철도 1호선~4호선, 동해남부선, 부산김해경전철이며, 단 2000번 급행 버스만 제회입니다. 
  5. 발급방법 : 사전에 동백전 카드를 보유하고 계신다면, 동백전 앱에 들어가셔서 동백패스 서비스에 가입하시면 됩니다. 동백전 카드 자체가 없으시다면, 해당 어플 '카드신청' 메뉴로 들어가셔서 '동백전 후불교통 체크카드' 발급신청하시면 된답니다. ※ 부산은행의 동백전 후불교통카드는 8월 1일부터 바로 동백패스가 적용되지만, 농협과 하나 동백전 후불교통카드는 10월 중순즈음 시행예정이니 참고하실 바라겠습니다.
  6. 문의방법 : 부산시 120 바로콜센터(051-120) 혹은 동백전 고객센터(1577-1432)

 

 

반응형

 

 

알뜰교통카드 vs 동백패스 비교

알뜰교통카드 적립방식은?

먼저 알뜰교통카드는 대중교통을 이용하러 갈 때 보행/자전거 이동거리와 대중교통 하차 후 도착지까지의 이동거리 합계(최대 800미터)에 비례하여 최대 20% 마일리지를 지급합니다. 이동거리가 총 800m가 넘고 대중교통요금이 3,000원이 나왔다면 최대 지원금액 450원 지급되며 요금이 2,000원 이상 3,000원 미만이면 350원. 2,000원 미만이면 250원 적립됩니다. 이동거리와 함께 청년마일리지라 하여 만 19세~34세도 결제한 대중교통이용요금에 따라 적립금이 들어오며, 대상에 해당된다면 저소득층 마일리지 또한 있답니다.

 

 

 

 

알뜰교통카드 장단점

장점 : 월 대중교통요금 지출금액이 4만 5천원 이하일 경우, 다양한 추가적립 가능

단점 : 현금으로 환급, 이동거리에 따라 적립금이 달라지므로 출발/도착지점이 초역세권이라면 다소 손해, 출발과 도착 전에 버튼을 누르지 않는다면 미적립, 까다로운 가입절차

 

 

 

 

동백패스 장단점

장점 : 월 대중교통요금 지출금액이 4만 5천원 이상일 경우, 간편한 가입절차

단점 : 동백전으로 환급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