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소한 알쓸신잡

부동산 재테크 금융 날씨 운세 이슈 상식 건강 이야기

사소한 이야기/건강

아스파탐 발암물질 확정? 음료 종류와 스테비아 차이

홍차녹차 2023. 7. 15. 14:56
반응형

 

일상생활에서 스트레스가 쌓인다던지 무더울 때 생각나는 시원한 탄산음료와 아이스크림, 각종 캔디 등 달달한 음식은 언제든지 생각나서 찾기 십상입니다. 이런 음식들에는 인공감미료인 '아스파탐'이 들어간다는 사실, 다들 알고 계셨나요? 그런 아스파탐이 어제 14일 세계보건기구(WHO)가 발암가능 물질로 분류했다고 합니다. 소소하고 사소하지만 알아두면 쓸모 있을 건강이슈, 아스파탐의 발암물질 분류확정 소식 자세하게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반응형

 

발암물질 확정? 소량을 먹어도 위험할까

WHO산하 국제암연구소(IARC)와 유엔식량농업기구(FAO)의 공동 산하기구인 식품첨가물전문가위원회(JECFA)가 유해성 평가를 통해 발암물질가능물질 분류인 2B에 아스파탐을 포함했습니다. 발암위험도는 확정적 발암물질인 1, 발암 추정물질 2A, 발암 가능물질 2B, 마지막으로 분류불가 3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아스파탐의 일일 섭취허용량을 체중 1kg당 40mg으로 규정하였는데, 예를 들어 체중 70kg의 성인이라면 아스파탐 하루 허용량은 약 2800mg이므로 하루 9~14캔을 넘게 마신다면 허용치를 초과하게 된답니다.

 

발암위험도 1군 2A군 2B군 3군
해당음식 술, 담배, 가공육 붉은 고기, 튀김류 김치, 피클 등의 절임 분류불가

 

 

 

 

 

아스파탐 발암물질 확정? 음료 종류와 스테비아 차이

  • 소주, 맥주 : 아스파탐이 들어가지 않습니다.
  • 막걸리 : 일정한 단 맛을 위해 소량의 아스파탐이 들어간답니다. 서울장수의 달빛유자 막걸리를 제외한 모든 제품에 들어가며, 지평주조 2종(지평생살막걸리, 지평생밀막걸리), 국순당 2종(생막걸리, 대박막걸리) 등이 해당됩니다.
  • 콜라 : 펩시콜라 제로슈거 3종(라임, 망고, 블랙) 나랑드, 칠성사이다 제로, 스프라이트 제로, 816콜라 제로, 탐사 제로 사이다, 원에이엠 스파클링, 노브랜드 6종(제로콜라, 스파클링에이드) 등
  • 음료 : 쥬시쿨, 빙그레 요구르트 등
  • 과자 : 오리온 10종(포카칩, 고래밥 등) 크라운제과 1종(콘칩 초당옥수수) 노브랜드 6종(나쵸칩) 등

 

 

 

아스파탐과 스테비아 차이

둘 다 설탕대신 달달한 맛을 내게 해주는 인공감미료지만, 특성에 다소 차이가 있습니다. 먼저 아스파탐의 구성물은 페닐알라닌, 아스파르티크 애씨드, 메틸 에스테르가 들어가며 스테비아에는 스테비오사이드라는 식물성 화합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또한 아스파탐은 당의 200배 정도 되며 스테비아는 이보다 더 높은 200~300배 정도의 단맛을 띄고 있습니다. 둘 다 낮은 열량을 가지고 있어 다이어트나 저칼로리 음료 특히 제로에 많이 사용된답니다. 아스파탐과 스테비아 둘 다 안전성에 크게 위해가 가해지지는 않으나, 스테비아를 너무 과하게 먹게 되면 변비나 위장장애를 유발할 수 도 있습니다. 반면 아스파탐은 사람에 따라 알레르기 반응이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으며, 이번 WHO에서 정한 발암유발 가능성도 지니고 있답니다.

 

 

 

 

 

728x90
반응형